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4대보험에 대한 초간단 해설(가입 대상, 계산 비율,내는 이유,총정리)

by 드라마 등장인물 다시보기 몇부작 2023. 7. 15.

안녕하세요!

아르바이트를 했던 적이 있는 분들이라면 4대보험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이고, 매달 적지 않은 돈이 4대보험료로 빠져나가는 경험을 하셨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4대보험이란 무엇인지, 종류와 가입 대상, 계산 비율, 그리고 4대보험료를 왜 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4대보험이란?

2.4대보험의 종류와 가입 대상

3.4대보험료를 내는 이유

4.4대보험료와 계산 비율

5.내용 총정리

 

1.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이란 우리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4개의 보험을 말합니다. 국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 장애, 실업, 사망 등의 사회적 위험을 보험 형식으로 대비하는 것입니다.

2. 4대보험의 종류와 가입 대상

 

4대보험은 연금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됩니다. 모든 사업장은 1인 이상의 상시 근로자가 있을 경우 4대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가입 대상은 일반적으로 근로자로서 근로계약을 맺은 아르바이트, 인턴,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해당됩니다.

3. 4대보험료를 내는 이유

 

4대보험이 없다면 우리는 생각보다 큰 부담을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어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는다면 의료비의 대부분을 자비로 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됩니다. 또한, 4대보험 납부 기록은 경력과 연봉을 인정받기 위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이직과 대출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4대보험은 우리의 생활을 안정적으로 지탱해주는 기반이기 때문에 제대로 알고 내야 합니다.

4. 4대보험료와 계산 비율

 

4대보험료는 회사와 근로자 개인이 함께 부담하는 형태입니다. 연금보험(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 고용보험도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8%를 납부해야 하며, 산재보험은 전액을 사업주가 부담합니다.

이렇게 부담하는 4대보험료는 보통 세전 급여에서 차감되는데, 이 금액이 세후 급여로 계산되어 실제로 손에 들어오는 금액이 됩니다. 4대보험료의 계산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연금보험(국민연금): 근로자 4.5%, 사업주 4.5%
  • 건강보험: 근로자 3.43%, 사업주 3.43%
  • 고용보험: 근로자 0.8%, 사업주 0.8%
  • 산재보험: 전액 사업주 부담

5. 내용 총정리

 

4대보험은 우리의 생활을 안전하게 보장해주는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근로자로서 4대보험에 가입하고 보험료를 부담함으로써 의료 비용, 실업 시의 생활 유지 등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4대보험이란 무엇인지, 종류와 가입 대상, 계산 비율, 그리고 4대보험료를 왜 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